베트남 산업통산부는 지난 3월 국가 무역 포털(VNTR, https://vntr.moit.gov.vn/)을 공식 출범시켰다. 이로써 우리 진출 기업을 포함한 많은 외국 투자기업들의 숙원이 해결됐다. 베트남은 그간 투자 진출의 필수 정보인 수입 세율 확인, 자유무역협정(FTA), 비관세장벽 및 무역정책 등에 관한 자료를 한 곳에서 볼 수 있는 포털이 전무했다. VNTR의 세부 사용법을 알아보자.
 
▲VNTR 메인페이지 캡처
●관세율 조회 기능(Tariff Schedules)=KOTRA 무역관 FTA센터에 접수되는 가장 많은 질문 중 하나가 베트남 수입 세율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는 베트남 관세청을 통해 확인이 가능했지만 VNTR을 통해 수입 관세율을 조회하면 베트남이 체결 중인 15개 협정에 대해 FTA 특혜 세율까지도 조회할 수 있다.
 
 
HS코드 입력 후 수입국을 선택하면 해당 국가와 베트남이 체결한 FTA 특혜 관세율의 2021년부터 2046년까지의 변경 스케줄과 전년, 올해의 특혜 세율을 조회할 수 있다.
 
●FTA 원산지 규정 확인(Rules of Origin)=현재 베트남은 총 15개 FTA를 체결하고 있으며 VNTR에서는 각 협정의 원산지 규정 및 원산지증명서 양식을 내려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비관세 조치 확인(Non-tariff measures)=비관세장벽은 관세 이외의 무역장벽을 의미하며 수량 제한, 수입허가제, 각종 수입 과징금 등을 부과하는 것을 말한다. 
 
VNTR을 통해 현재 베트남이 부과 중인 비관세장벽 조회가 가능하며 세율 부과와 관련된 법률정보 및 관할 기관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조치가 적용될 수 있는 HS코드를 확인할 수 있어 수입 HS코드별 인증 필요 여부에 대해 좀 더 쉽게 조회할 수 있다.
 
●베트남 주요 법률정보(Legal Documents)=현재 베트남이 적용 중인 무역 및 수출입 관련 법률정보도 조회가 가능하며 영문 규정이 있는 경우 함께 조회할 수 있다. 
 
그간 베트남어 정보는 무료로 조회할 수 있지만 영문 법규는 유료 사이트를 통해 확인해야 했는데 VNTR에는 상당수 법률 정보가 영문으로 공개돼 있다.
 
●HS코드, 원산지 결정 등 주요 관세 행정심판 결정 조회(Administrative Rulings Concerning Tariff Classification)=진출 기업의 수입 세율 확인 요청 다음으로 많은 질문 중 하나가 HS코드에 대한 결정 문의이다. 
 
베트남도 한국 관세청에서 운용 중인 품목분류 사전심사제도를 운용하고 있으며 품목분류 심사제도 신청 절차 및 공개된 결정에 대한 조회가 가능하다.
 
●수출입안전관리우수업체(AEO·Authorized Economic Operator) 조회=베트남도 WCO(국제관세기구)에 따라 AEO 제도를 운용 중이며 VNTR을 통해 AEO 신청 절차와 현재 인증을 획득한 기업 명단을 볼 수 있다. 
 
2021년 기준 총 69개 기업이 AEO 인증을 획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세계무역기구(WTO), 유엔 서비스 무역 조회 및 관련 현지 법률 조회 (Trade in Services)=VNTR에서는 상품무역뿐만 아니라 WTO와 유엔의 서비스 무역규정 및 현지 법률규정도 조회할 수 있다.
 
●FTA의 투자규정 및 관련 현지 법률 조회(Investment)=VNTR에서는 협정 별로 상이하게 돼 있는 투자협정도 한 곳에서 조회가 가능하며 관련 현지 법률도 알아볼 수 있다.
 
●FTA 협정문 및 관련 현지 법률 조회(Free Trade Agreements)=앞선 챕터에서는 원산지규정, 서비스 무역, 투자협정 등 항목별로 조회가 가능했다면 이 화면에서는 FTA 전체 협정문과 관련 현지 법률 조회가 가능하다.
 
KOTRA 호치민 무역관 제공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14 베트남, 채식이 주류 식문화로 부상할까? kimswed 11581 2022.11.18
313 베트남 소비시장 동향 kimswed 11973 2022.11.10
312 베트남에서 쏟아지는 한국 위조상품 kimswed 11996 2022.11.01
311 베트남 소매시장 회복 kimswed 11730 2022.10.27
310 세계의 섬유공장’에 가해진 타격 kimswed 11491 2022.10.25
309 베트남 관광산업 환경 kimswed 11540 2022.10.20
308 베트남, Z세대가 열광하는 e스포츠 시장 kimswed 11372 2022.10.10
307 베트남 소비활성화 kimswed 11293 2022.09.29
306 베트남 달러 강세 kimswed 11300 2022.09.17
» 베트남 무역 포털(VNTR) 활용법 ‘A to Z’ kimswed 11360 2022.08.21
304 베트남 경기 침체 kimswed 11329 2022.08.09
303 베트남은 지금도 기회의 땅 kimswed 11306 2022.07.23
302 코로나19 팬데믹 후 첫 바이어 대면 kimswed 11307 2022.07.18
301 베트남 소비시장, 한국 최대 경쟁자는 ‘일본’ kimswed 11260 2022.07.08
300 베트남, 인플루언서 마케팅 활용하는 법 kimswed 11282 2022.07.06
299 베트남, 6대 시장 트렌드 kimswed 11232 2022.07.03
298 베트남 온라인쇼핑 성장 kimswed 11245 2022.06.30
297 베트남, 코로나19 히트상품과 포스트코로나 유망분야 kimswed 10996 2022.06.25
296 베트남 구매력 향상 kimswed 9844 2022.06.16
295 베트남 경기회복 전망 kimswed 8890 2022.06.03
294 베트남 소매업 활성화 kimswed 7812 2022.05.18
293 베트남, 한류 타고 성장하는 남성 그루밍 시장 kimswed 7014 2022.05.12
292 베트남 수출 증가 kimswed 5840 2022.05.05
291 베트남 수요 회복력 kimswed 5601 2022.04.21
290 베트남 물가 상승 kimswed 5343 2022.04.07
289 베트남 관광산업 회복 kimswed 6006 2022.03.23
288 베트남, 샘플경제에 부합하는 화장품 kimswed 5520 2022.03.20
287 베트남 대기 수요 kimswed 4549 2022.03.10
286 베트남 수요 예측 kimswed 3512 2022.02.24
285 코엑스는 어떻게 베트남 최대 마이스 시설을 운영 kimswed 2569 2022.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