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소기업으로 가는 필수 전략

kimswed 2019.07.08 07:19 조회 수 : 181

우리나라는 약 300만 개의 중소기업이 있습니다. 매년 설립되는 기업 수 약 100만 여개, 폐업하는 기업 수 약 100만 여개로 약 300만 개의 중소기업이 매년 사업을 하고 있는 셈입니다. 우리나라 기업의 평균수명이 6~8년 정도에 불과합니다.

 

하지만 작지만 강한기업인 강소기업은 평균 60여년의 기업수명을 갖고 있습니다. 더욱이 매년 기업수명은 늘어나고 있고 보통 100년을 지속해내는데 무리가 없습니다.

 

이런 강소기업의 공통점으로는 기업의 존재 이유, 즉 정체성이 분명하다는 것입니다. 이는 기업의 미션으로 나타나고, 이 미션 수행을 위해 비전을 수립하게 되고, 비전 수립을 위한 전략들을 단기, 중기, 장기로 세우게 되는데 기업의 CEO만의 미션, 비전이 아니라 모든 임직원과의 공유된 것일 때, 100년 강소기업을 만들 확률이 높아지게 됩니다.

 

세계적인 IT 공룡 구글은 현존하는 가장 거대하고 강력한 경쟁력을 가진 기업 중 한곳입니다. 구글에도 기업 미션이 있습니다. 구글의 미션은 바로 ‘정보의 민주화’입니다. 구글의 창업 당시 모든 종류의 정보가 특정한 개인, 단체 등이 독점하고 있었고, 그로 인한 정보의 독점은 또 다른 권력과 그들의 자본을 더욱 거대하게 만들었고, 결국 이러한 기회의 불평등이 사회와 국가를 건강하지 못하게 만들었습니다.

 

지금까지 구글의 사업들을 보면 정보의 민주화를 위한 방향으로 달려온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구글은 기업을 인수하고 합병하는데도 왕성한 활동을 보이고 있는데, 지난 1년 동안 인공지능, 위성, 온라인 광고업체 등 35개 기업을 인수했습니다. 구글은 기업을 인수할 때 기존의 평가방식인 재무상태를 파악하는 것은 무시하고 묻는 것이 바로 ‘그 서비스를 하루에 한번 또는 두 번 사용하는가? 그 회사가 제공하는 서비스가 당신의 삶을 더 멋지게 바꿀 수 있는가?’라는 것입니다.

모든 사업의 시작은 바로 구글의 미션인 ‘정보의 민주화’ 여부로 판단하는 것입니다.

 

이런 강소기업은 강소기업의 천국인 독일에서 흔하게 찾아 볼 수 있습니다.

강소기업 수만 약 360만 여개인 독일의 경우 100년 기업은 강소기업의 기본입니다. 이들 은 그들만의 독보적인 기술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또한 독일의 강소기업에서는 가족기업이 많습니다. 오너 일가가 3~4대 이어지는 기업이 특징입니다. 그러나 오너 일가만이 아니라 직원들도 3~4대로 이어집니. 할아버지, 아버지, 아들로 이어지는 가업승계만이 아니라 직원들 역시 할아버지와 아버지와 아들이 함께 출근하고 함께 퇴근합니다.

 

부친인 직원이 아들에게 “우리 회사는 좋은 회사이니 우리 회사에 입사해서 같이 일하자” 라고 입사를 권유하고, 아들은 할아버지와 또 상의합니다. 정말 보기 좋고 부러운 기업환경입니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힘은 미션의 공유입니다. 이를 위해 기업의 모든 임직원이 똘똘 뭉쳐서 어려움도 이겨내고 즐거움도 함께하면서 3대, 4대, 그리고 10대까지 이어가는 것입니다.

 

오너와 임직원들이 같은 방향을 보고 함께 가기 때문에 100년 이상 지속되는 기업가치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입니다. 당연히 성과보상과 성과공유는 기본입니다. 한발 더 나아가 회사의 이익을 지역과 나누는 일에도 적극적입니다. 바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 하는 CSR입니다.

 

이런 독일은 강소기업의 저력으로 인해 유럽 재정위기이후 유럽에서 가장 강력한 리더쉽을 발휘하는 국가로 우뚝 설 수 있게 되었던 것입니다.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강소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여러 다양한 방법들이 있겠지만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가 IP경영을 핵심 테마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하고자 합니다. IP는 강소기업이 반드시 해야 하는 기술연구에 있어서 가장 확실한 기업자산화의 방법이기도 합니다.

최근 M&A 시장에 있어 IPR(Intellectual Property Right : 지식재산권)이 갖는 비중이 전체 약 80%를 차지한다고 합니다. 결국 지식재산권이 없으면 M&A시 제값을 받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최근 IP경영의 모범 사례가 있었습니다. 국내 최초 바이오 의약품 기술 수출 사례로, 유한양행이 글로벌 제약회사인 베링거 잉겔하임에게 1조원이 넘는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는 놀라운 기사입니다.

 

2019년 7월1일자 중앙일보는 ‘유한양행이 베링거 인겔하임과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치료제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1일 공시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이란 술을 전혀 마시지 않거나 아주 적게 마시는데도 간에 5% 이상의 지방이 쌓여 간세포가 손상되는 단계를 말하는 것으로, 아직 최종 허가 문턱을 넘은 약이 없어 치료 방법이 매우 제한적인 분야입니다.

 

이번 계약의 총 기술 수출 규모는 8억7000만USD(약 1조53억원)입니다. 유한양행은 반환 의무가 없는 계약금으로 4000만 달러를 비롯 개발·허가와 매출에 따른 단계별 기술료 8억3000만 달러와 순매출액에 따른 경상기술료도 수령할 예정입니다.

 

매출 1조원도 대단한데 기술료로 받는, 즉 순이익이 1조원이라는 것입니다. 이는 특허를 위한 특허가 아닌, 세상을 이롭게 하면서 시장의 수요가 분명한 기술개발을 통해 얻어진, 오랜 시간 투자한 결과인 것입니다.

 

그럼 IP는 무엇일까요? 바로 Intellectual Property, 지식재산을 의미합니다. 즉, IP경영이란 지식재산이라는 무형의 재산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하여 기업 경영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지식재산권에는 특허권(발명), 실용신안권(물품의 형상, 구조, 결합을 고안), 디자인권(디자인), 상표권(상표/서비스), 저작권(미술창작물, 작곡, 작사 등)으로 구분 할 수 있습니다.

 

정부에서도 지식재산 창출이 차세대 먹거리 산업임을 인식하고 지재권 보유 기업에 보다 많은 혜택을 주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연구인력개발에 대한 세제혜택은 물론이고 지식재산을 통한 자금조달도 지원합니다.

 

추후 강소기업 사례로 소개할 기업인 테크로스라는 선박평형수 정화처리장치를 만드는 기업 역시 IP경영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연구개발을 거쳐 획득한 특허권을 통해 경쟁력을 제고하고 마케팅을 증진하였으며 경영수지에 막대한 기여를 했습니다.

 

불과 5~60억 매출에 불과한 한국의 작은 중소기업이 5년여 만에 1000억원대 매출의 중견기업으로 급성장할 수 있었던 배경은 연구중심의 강소기업이 IP경영을 전략적으로 추진한 결과인 것입니다. IP경영은 우리 중소기업이 강소기업이 되기 위해 반드시 갖춰야 하는 필수 전략입니다.

 

베한타임즈 부설 강소기업 연구소

이노베이션센터 대표 최규섭 sogoodks@naver.com

출처 : 베한타임즈(http://www.viethantimes.com)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7 초보 수출기업 찾아가 애로 해결해주는 ‘이동 KOTRA’ kimswed 2021.06.22 188
256 비대면 마케팅, 앞으로도 ‘뉴노멀’로 자리 잡을 수 있어 kimswed 2021.06.11 191
255 캄보디아, 식품·외식시장 발전은 ‘명약관화’ kimswed 2021.05.25 194
254 중국 K-뷰티 시장 ‘블루오션’ 남성용 화장품 kimswed 2021.05.11 177
253 베트남, C2C 시장에 찾아온 변화 kimswed 2021.05.03 171
252 차이나 비즈니스 발음하기 쉬운 중문 브랜드 kimswed 2021.04.28 313
251 김치로 코로나 발생·사망률↓ kimswed 2021.04.09 158
250 오프라인 수출마케팅 자원, 온라인 kimswed 2021.04.03 166
249 중국사업, 브랜드 디자인을 사수하라 kimswed 2021.03.14 175
248 한-캄보디아 FTA 최종타결… 섬유·의류 진출기업 수혜 kimswed 2021.02.05 198
247 스킨케어 수출 호조… 중화권 시장 유망 kimswed 2021.01.29 172
246 해외시장전략①] RVC의 시대 kimswed 2021.01.23 146
245 방글라데시에서 떠오르는 한국 화장품 kimswed 2021.01.17 111
244 중국 상표권 등록 안 했다간 큰코다쳐 kimswed 2021.01.01 140
243 충북기업, 바이오폴리텍 kimswed 2020.12.28 98
242 차이나 비즈니스 원조가 짝퉁이 되는 유형에 조심 kimswed 2020.12.18 95
241 화장품 업계, 이제 ‘클린뷰티’에 주목 kimswed 2020.12.14 81
240 내년부터 RCEP 활용해 수출하면 유리 kimswed 2020.11.28 90
239 중국에서 실패하는 5가지 사업유형(1) kimswed 2020.11.07 149
238 인도에 한류 바람 kimswed 2020.11.06 89
237 한국 등 아시아 국가 쫓는 일본 화장품 업계 kimswed 2020.10.17 108
236 중국시장, ‘안전한 한국산’ 마케팅이 먹힌다 kimswed 2020.10.08 89
235 충북기업 세계로 날다 농업회사법인 화양 kimswed 2020.09.18 131
234 FTA 활용 성공사례 인산비료 kimswed 2020.09.12 159
233 K-팝·K-푸드·K-방역 뒤잇는 ‘K-통상’ 온다 kimswed 2020.08.06 124
232 당신의 중국 직원관리는 안녕하십니까? kimswed 2020.08.01 93
231 국산 제품이 곧 트렌드”… 중국 젊은이들이 바뀌었다 kimswed 2020.07.24 92
230 차이나 비즈니스(46)] ‘차이벌라이제이션’으로 승부하라 kimswed 2020.07.16 84
229 한·중 신속통로 문의 창구 운영 안내 (PCR신청절차 변경) kimswed 2020.07.03 153
228 FTA 활용 성공 사례] 플라스틱 풍선 kimswed 2020.06.30 97
227 마케팅은 왜 죽었을까’ 전문가들이 묻다 kimswed 2020.06.18 77
226 인도의 글로벌 공급망 참여를 위한 조건들 kimswed 2020.06.13 65
225 현대 중국을 파악하는 키워드 ‘신4대발명 kimswed 2020.06.06 74
224 우리 회사와 궁합 맞출 중국 도시 kimswed 2020.05.23 72
223 전문몰 먼저 두드리고 안테나샵 함께 운영해야 kimswed 2020.04.26 92
222 FTA 활용 성공사례] 전동공구 kimswed 2020.03.25 148
221 ‘타징지(她经济)’ 비즈니스를 최적화하라 kimswed 2020.02.18 142
220 라오스, 떠오르는 전자상거래 시장 kimswed 2020.02.10 143
219 박승찬의 차이나는 차이나 비즈니스(34) kimswed 2020.01.30 126
218 사례로 보는 아세안 화장품 시장 공략법 kimswed 2019.12.21 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