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점검 주기에 따른 점검 과정:
비상용 디젤 발전기는 주로 일상 점검, 주간 점검, 월간 점검, 분기 점검, 연간 점검, 그리고 3~5년 주기의 정밀 점검으로 나누어 진행됩니다. 각 점검 주기마다 확인해야 할 항목들이 다릅니다.
1. 일상 점검 (매일 또는 운전 전)
외관 점검:
누유/누수 확인: 엔진, 발전기, 연료탱크, 냉각수 라인 등에서 기름이나 냉각수가 새는 곳은 없는지 육안으로 확인합니다.
이물질/손상 확인: 발전기 주변에 이물질이 쌓여 있거나, 케이블, 호스 등에 손상된 부분은 없는지 확인합니다.
접지 상태: 중성점 및 외함 접지 시설이 잘 되어 있고 풀림은 없는지 확인합니다.
유체 레벨 확인:
엔진오일: 레벨 게이지를 통해 엔진오일 레벨이 적정선(HIGH-LOW 사이)에 있는지 확인하고, 부족하면 보충합니다. 오염 여부도 확인합니다.
냉각수: 라디에이터 캡을 열어 냉각수가 OVER FLOW까지 충분히 차 있는지 확인하고, 부족하면 보충합니다. (뜨거운 상태에서 캡을 열면 위험하므로 냉각 후 열거나 천으로 덮고 서서히 압력을 제거하며 엽니다.)
연료: 연료탱크에 연료가 충분한지 확인하고, 항상 가득 채워 결로 현상으로 인한 수분 발생을 방지합니다.
배터리 상태:
충전 상태 및 전압: 배터리 자동 충전기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고, 배터리 전압이 24V 이상(상시 충전 전압: 26~28V)인지 확인합니다.
단자 부식 및 풀림: 배터리 단자에 부식은 없는지, 연결이 헐거워지지는 않았는지 확인합니다.
환경 점검:
환기 상태: 발전기실의 환기 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온도/습도: 발전기실의 온도와 습도가 적정한지 확인합니다.
2. 주간 점검 (최소 1주일에 10분 이상 무부하 시운전 포함)
일상 점검 항목을 모두 포함하여 수행합니다.
무부하 시운전:
발전기를 5~10분 정도 무부하로 운전하여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합니다.
운전 중 이상음, 이상 진동, 이상 발열, 기름/물 누설, 배기가스 색상 등을 점검합니다.
방진 장치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합니다.
발전기의 전압 및 주파수가 규정치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는지 확인합니다.
엔진의 윤활유 압력 및 온도, 냉각수 온도를 측정하여 기록합니다.
3. 월간 점검 (최소 1개월에 2회 이상 부하 시운전 포함)
주간 점검 항목을 모두 포함하여 수행합니다.
부하 시운전:
매우 중요: 비상 발전기의 실제 성능을 점검하고 연료 불완전 연소로 인한 이물질 축적을 방지하기 위해 최소 월 1회, 발전기 용량의 30% 이상의 부하를 걸어 최소 30분 이상 운전해야 합니다. (NFPA 권장 사항)
부하 시운전 중 엔진의 윤활유 압력, 냉각수 온도, 배기 온도, 발전기 전압, 전류, 주파수 등을 기록하고 이상 여부를 확인합니다.
부하 변동 시(100% → 0% → 25% → 50% → 75% → 100%) 전압 및 주파수 변동률이 허용 범위 내에 있는지 확인합니다.
세부 점검:
연료 계통: 연료 라인 누유 점검, 연료 탱크 침전물 제거, 유수 분리기에서 수분 배출 (주기적으로)
냉각 계통: 냉각수 호스 및 클램프 누수 점검, V-벨트 장력 조정 및 손상 여부 확인.
배터리: 전해액 비중 및 충전 상태 점검, 전선 벗겨짐 및 접속 상태 점검.
4. 분기 점검 (3개월 또는 매 200시간 사용 후 점검)
월간 점검 항목을 모두 포함하여 수행합니다.
필터류 점검/교환 (선택적):
엔진오일 및 오일 필터: 교체 주기에 따라 교환합니다. (일반적으로 200~400시간 운전 또는 6개월마다)
연료 필터: 교체 주기에 따라 교환합니다.
공기 필터: 청소 또는 교환합니다. (오염도에 따라 조절)
냉각 계통:
냉각수 및 부동액 상태 확인 및 보충.
라디에이터 세척 및 막힘 여부 점검.
냉각수 히터 점검.
연료 계통: 연료 공급 펌프 스트레이너 청소.
전장품 확인: 배터리 충전기, 각종 센서 및 스위치, 각종 결선 및 단자 조임 상태 확인.
엔진 보호 회로 테스트: 냉각수 과온도, 윤활유 압력 저하, 엔진 과속도, 시동 실패 경보 및 엔진 정지 기능이 정상 작동하는지 테스트합니다.
5. 연간 점검 (1년 또는 매 1200시간 사용 후 점검)
분기 점검 항목을 모두 포함하여 수행합니다.
유체 교환:
엔진오일 및 오일 필터: 반드시 교환합니다.
연료 필터: 반드시 교환합니다.
공기 필터: 반드시 교환합니다.
냉각수 필터 (있는 경우): 교환합니다.
냉각수 교환: 냉각수 및 부동액을 완전히 교환합니다.
점화/분사 계통: 연료 분사 시기 및 분사 노즐 점검 (필요시 조정).
과급기/배기 라인: 과급기 및 배기 라인 청소 (필요시).
밸브 간극 조정: 흡기/배기 밸브 간극 점검 및 조정 (필요시).
벨트류 교환: 팬 벨트, 발전기 벨트 등 구동 벨트의 마모 및 장력 확인 후 필요시 교환.
진동 측정: 발전기 본체의 진동 측정을 통해 비정상적인 진동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절연 저항 측정: 발전기 권선의 절연 저항을 측정하여 절연 상태를 확인합니다.
접지 저항 측정: 발전기 접지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접지 저항을 측정합니다.
베어링 상태 점검: 발전기 베어링의 소음, 발열, 윤활 상태 등을 점검합니다.
비상 제어반 점검: 제어반 내부 먼지 제거, 터미널 조임 상태, 계측기 및 보호 계전기 동작 확인.
6. 3~5년 주기의 정밀 점검 (Major Overhaul 또는 필요시)
엔진 분해 점검: 엔진의 주요 부품 (피스톤, 실린더 라이너, 크랭크샤프트 등)의 마모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시 교체합니다.
발전기 권선 상태 점검: 발전기 권선의 손상 여부, 절연 상태 등을 정밀 점검합니다.
베어링 교체: 엔진 및 발전기의 주요 베어링을 교체합니다.
인젝터, 연료펌프 점검: 연료 분사 장치를 점검하고 필요시 오버홀 또는 교체합니다.
터보차저 점검: 터보차저의 상태를 점검하고 필요시 수리 또는 교체합니다.
각종 센서 및 계측기 교정/교체: 중요 센서 및 계측기의 정확도를 확인하고 교정하거나 교체합니다.
전반적인 성능 테스트: 정밀 점검 후 종합적인 성능 테스트 (부하 테스트 포함)를 통해 발전기의 정상 작동을 확인합니다.
점검 시 유의사항 및 기타 관리 팁:
제조사 매뉴얼 준수: 미쓰비시 1000kW 발전기의 정확한 점검 주기, 교체 부품, 점검 방법 등은 반드시 미쓰비시에서 제공하는 공식 유지보수 매뉴얼을 최우선으로 따르세요. 모델별로 점검 항목이나 주기가 다를 수 있습니다.
안전 수칙 준수: 발전기 점검 및 유지보수 시에는 반드시 안전 장비(보안경, 장갑 등)를 착용하고, 전원 차단 등 안전 수칙을 철저히 준수해야 합니다. 특히 고전압 위험이 있으므로 전문가가 아닌 경우 직접 점검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전문가 활용: 대용량 비상 발전기(1000kW)의 경우, 전문적인 기술과 장비가 필요하므로 미쓰비시 서비스센터 또는 전문 발전기 유지보수 업체에 의뢰하여 점검 및 정비를 받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효율적입니다.
점검 기록: 모든 점검 내용은 날짜, 시간, 점검자, 점검 항목, 점검 결과, 조치 사항 등을 상세히 기록하고 보관해야 합니다. 이는 발전기 이력 관리 및 문제 발생 시 원인 분석에 중요한 자료가 됩니다. (예: 비상 발전기 점검 기록표 활용)
예비 부품 확보: 주요 소모품(필터류, 벨트류 등) 및 비상시 필요한 예비 부품을 미리 확보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연료 관리: 연료 탱크에 경유는 항상 충분히 채워두어 결로 현상을 방지하고, 연료의 품질을 주기적으로 확인합니다.
온도 관리: 동절기에는 엔진 동파를 방지하기 위해 냉각수 히터가 정상 작동하는지 확인하고 부동액 농도를 점검합니다. 장마철이나 습한 환경에서는 환기 장치를 가동하고, 필요시 5~10분 무부하 시운전을 통해 내부 습기를 제거합니다.
법적 검사: 한국에서는 "작업 장비 사용 시 건강 및 안전 조건에 관한 규정" 등에 따라 발전기는 최소 1년에 한 번 주기적으로 점검을 받아야 합니다. 또한, 주택용 비상 발전기의 경우 용량에 상관없이 사용 전/정기 검사 대상으로 확대되었으며, 정기 검사 주기는 2년입니다.
이러한 상세한 점검 과정을 통해 미쓰비시 1000kW 비상용 디젤 발전기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고, 비상 상황 발생 시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