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소비시장, ‘전자상거래

kimswed 2021.03.16 07:16 조회 수 : 112

코로나19 이후 소비 중심축 온라인으로

O2O 서비스·소셜미디어 마케팅 급성장

식품·화장품·주방용품·유아용품 등 유망

 

지난해 중국에서 팔린 소비재 4개 중 1개는 온라인에서 거래된 것으로 나타났다코로나19를 계기로 중국 소비시장이 온라인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우리 소비재 기업들도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중심으로 중국 시장을 공략해야 할 전망이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16일 발표한 중국 소비시장의 변화와 우리 기업의 진출 차별화 전략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소비자들은 외출 제한으로 온라인 쇼핑에 눈을 돌리면서 유형 소비재화의 온라인 판매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생활용품 등 유형 재화의 온라인 소비재 판매액은 전년 대비 14.8% 증가한 98590억 위안을 기록하면서 전체 소비재 판매액의 약 25%를 차지했다마케팅 중심축도 온라인으로 넘어갔다. 2020년 6월 기준 중국 라이브스트리밍 커머스 이용자 규모는 3900만 명으로동년 3월 대비 4430만 명(16.7%) 증가했다

.

쌍순환 본격화기회는 소비시장에 중국은 경제를 해외와 국내에서 돌리겠다는 쌍순환’ 전략을 펴면서 내수시장 성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최근 개최된 양회에서도 소비는 정부업무보고 주요 키워드로 제시된 바 있다.

 

더욱이 세계적으로 미국유럽 등 주요 시장들이 경제 침체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효율적으로 코로나19 방역 조치를 취하고 있는 중국이 세계 수입시장에서 갖는 영향력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중국 당국은 전자상거래를 중심으로 소비진작책을 펼치고 있어 전자상거래 소비시장 팽창이 계속될 전망이다이를테면 중국 국무원은 기존 59개 글로벌 전자상거래 시범구와 별도로 수입 소비재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46개의 시범구를 계획하고 있다.

 

2020년 중국의 소비재 수입은 전년 대비 8.2% 증가한 15700만 위안(약 270조 원)을 기록했고액세서리화장품 수입은 30% 이상 증가했다소비가 전체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약 11%에 달했다특히 육류액세서리화장품 수입은 30% 이상 증가했고가방시계 수입은 20% 증가했다.

 

2020년 중국 소비시장은 코로나19 영향으로 상반기에 부진한 모습을 보였으나 하반기부터는 3분기에 0.9%, 4분기에 4.6%의 플러스 성장률을 기록했다월별 소비재 판매액이 8월부터 회복한 데 이어 11월에 전년 동월 대비 5.0% 증가했고 12월에는 전년 동기 대비 4.6% 증가했다.

 

중국 소비시장은 생활용품식품 등의 온라인 소비를 중심으로 크게 확대되고 있다. 2020년 6월 기준라이브스트리밍 커머스 이용자 규모가 전년 대비 16.7% 증가하여 처음으로 3억 명을 넘어섰고, 2, 3선 중소도시를 중심으로 커뮤니티 공동구매가 하루 2000만 건씩 이루어지기도 했다.

 

2019년 전체 유통채널의 약 76.7%를 차지했던 점포 기반 소매유통 비율은 2020년 72%대로 하락했고 비점포 유통이 28%로 증가했다비점포 유통 중에서도 특히 전자상거래 매출이 전년 대비 20.4%나 증가하는 등 온라인을 중심으로 한 내수 소비가 확대되고 있다.

 

자동차 소비를 제외한 중국의 2020년 소비재 판매액은 353000만 위안(약 6100조 원)으로 전년 대비 4.1% 감소했으나 식품·생활용품 등 유형 재화의 온라인 판매액은 오히려 전년보다 14.8% 증가한 99000억 위안(약 1700조 원)을 기록하면서 전체 소비재 매출액의 약 25%를 차지했다.

 

품목별로는 석유 및 관련 제품(-15.0%), 귀금속(-8.8%), 의류(-8.5%) 등의 소비가 감소했으며통신장비(15.0%), 화장품(13.6%), 음료(9.3%), 생활용품(6.4%) 등의 수요가 증가했다.

 

중국 소비시장새 사업모델 발굴 활발 중국 정부의 소비시장 발전 전략에서 눈에 띄는 것은 새로운 사업모델’ 발굴에 정부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지원에 나서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해 7월 중국 국가발개위는 새로운 소비모델 발전을 위해 신업태·신모델의 건전한 발전을 통한 소비시장 활성화 및 취업확대에 관한 의견을 통해 소비시장의 디지털 전환을 강화하고 새로운 사업모델 발전을 위한 제도개선을 꾀한 바 있다.

 

여기에 국무원은 9월 신업태·신모델을 통한 신소비의 조기발전 견인에 관한 의견을 통해 O2O 융합소비 발전을 가속하고 디지털 소비상품 개발을 장료하며 신형소비의 해외시장 진출 확대를 지원할 계획도 밝혔다.

 

실제로 시장을 선도하는 민간기업들의 혁신과 신사업모델 발굴도 활발하다알리바바그룹은 명품 이커머스 플랫폼인 Farfetch에 투자해 티몰 명품관에 입점시키는 등 럭셔리 신유통’ 이니셔티브를 내걸었다핀둬둬는 뉴 브랜드’ 이니셔티브를 통해 중소·신흥브랜드 입점사에 AI·빅데이터를 활용해 소비자와 공장을 직접 연결하는 유통방식을 지원하고 있다.

 

라이브 스트리밍 커머스를 통한 온라인 홈쇼핑 식의 판매는 이미 중국 소비시장의 뉴노멀로 자리 잡은 상황이다생활용품 유통체인 미니소는 자체적인 라이브 스트리밍 커머스 채널을 출시해 작년 말 기준 약 2800만 명의 회원을 확보한 바 있다.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공동구매 방식의 온라인 소비가 더욱 활발해지고 있다라스트마일 배송에 대한 제한이 높아지는 가운데 단지 내 농수산물생활용품 배송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를 커뮤니티 공동구매 모델이 충족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2020년 중국의 공동구매시장 규모는 720억 위안에 달할 전망이다.

 

●한국산 중국시장 진출도 온라인이 유망 중국 바이어들이 한국 제품을 가장 많이 유통하는 것도 역시나 온라인 채널로 나타났다한국무역협회 베이징지부가 중국 바이어 233명을 대상으로 2020년 4분기에 자체적으로 시행한 한국 제품 경쟁력 조사 결과에 따르면현재 온라인을 통해 한국 제품을 유통하는 비율이 37.7%로 나타났다.

 

바이어들은 앞으로도 67.7%의 바이어가 한국 제품의 온라인 유통 확대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향후 인기품목에 대해서는 한국의 식품화장품미용용품유아용품주방용품을 꼽았다.

 

특히 유아용품은 소셜미디어 마케팅이 필수적일 것으로 분석됐다오프라인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미약한 지방 도시에서도 온라인 채널을 통해 유아용품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품목별 수요와 소비자 속성에 맞는 맞춤형 콘텐츠로 마케팅을 펼쳐야 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중국 유아용품 소비자의 77%가 동영상 및 라이브 방송 앱을 이용하고, 57%가 뉴스검색 앱을 이용하고 있기에 해당 플랫폼에서 활동하고 있기에 해당 채널의 인플루언서를 이용한 마케팅도 유용할 것으로 점쳐졌다.

 

보고서는 향후 우리 기업의 대중국 소비재 수출 확대를 위해서는 온라인 유통채널을 확대하고 3선 도시 이하 중소도시를 공략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라고도 지적했다.

 

아울러 우리 기업의 차별화된 진출 전략으로 소비자 접점 확대를 위한 온-오프라인 연계(O2O) 서비스 다각화 개성적인 소비를 반영한 맞춤형 제품 설계 소셜미디어 마케팅 강화를 제안했다.

 

 

무역협회 박소영 수석연구원은 중국의 거대한 내수시장은 이커머스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고 이는 수입 제품도 마찬가지라면서 “6000조 원이 넘는 중국 소비시장에서 우리 기업들이 입지를 넓히기 위해서는 이러한 변화에 빠르게 적응하고 현지 바이어의 한국 제품에 대한 인식을 고려한 차별화된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자료=한국무역협회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 중국 소비시장, ‘전자상거래 kimswed 112 2021.03.16
138 한국은 사실상 규칙 제정자 kimswed 117 2021.03.05
137 중국 외상투자 핵심 新규정 kimswed 120 2021.02.28
136 2억5000명 중국 탈모 시장 kimswed 127 2021.02.23
135 차이나 정반합’의 변증법적 현지화 경영 kimswed 197 2021.02.09
134 농심의 ‘현지화 경영’ 사례에서 배우다 kimswed 365 2021.01.18
133 고헌정영농조합법인 kimswed 358 2020.12.11
132 생활영어51 file kimswed 2907 2011.01.18
131 아세안타임즈 베트남 주재기자 모집 file 아세안타임즈 3054 2010.12.19
130 호치민한인교회 file kimswed 3248 2010.12.01
129 호치민골프연습장 file kimswed 3670 2010.12.01
128 호치민김재천영사 file kimswed 3689 2010.11.08
127 LS전선베트남 file kimswed 2898 2010.11.01
126 베/아산병원 file kimswed 2933 2010.11.01
125 베/대한생명 file kimswed 2839 2010.11.01
124 신한은행하노이 file kimswed 4026 2010.10.12
123 대하기업 file kimswed 2479 2010.10.12
122 (주)공간 file kimswed 2028 2010.10.12
121 베/금호렌터카 file kimswed 2569 2010.10.01
120 호치민상공연합회 file kimswed 3397 2010.04.08
119 이은홍 file kimswed 3057 2010.04.04
118 호치민교민회장 file kimswed 3522 2010.03.28
117 베트남해외인력송출업무 file kimswed 5703 2010.02.21
116 성부비나 file kimswed 4261 2010.02.20
115 베트남한인가구협회 file kimswed 3624 2010.01.09
114 한국석유공사베트남 file kimswed 4037 2009.12.25
113 KCC file kimswed 5421 2009.12.25
112 베트남생활 file kimswed 2936 2009.05.03
111 다이아몬드플라자 file kimswed 3111 2009.04.30
110 V-STAR file kimswed 4029 2009.04.18
109 엔도어즈 file kimswed 3403 2009.04.18
108 시그니쳐 file kimswed 3027 2009.04.16
107 대한생명베트남 file kimswed 2751 2009.04.16
106 베트남한국학교 file kimswed 3918 2009.04.03
105 동림 file kimswed 3240 2009.04.02
104 금호건설썬라이즈시티 file kimswed 4025 2009.04.02
103 박동승이사 file kimswed 3170 2009.04.02
102 비나시스템 file kimswed 3141 2009.03.27
101 S&D file kimswed 3181 2009.03.27
100 보령화장품 file kimswed 3896 2009.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