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혼·비혼 늘며 1억 내다보는 중국 1인 가구 인구

무협 “80~90년대생 소포장·스마트가전·명품 주목

 

중국에서 1인 가구 증가세가 가속하는 가운데 기업들이 소포장스마트가전명품 등 프리미엄 전략을 바탕으로 관련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베이징지부가 4일 발표한 중국의 싱글 이코노미에 따르면 중국의 1인 가구는 2015년 5392만 가구로 전체의 13.1%를 차지하던 것이 2019년에는 8610만 가구, 18.5%로 크게 늘었으며 올해는 약 1억 가구 규모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는 상대적으로 자유분방하게 자라난 바링허우(80년대생)와 지우링허우(90년대생세대에서 전통적인 결혼 관념을 벗어나 만혼 또는 비혼이 증가하고 이혼율도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라 설명하며 싱글 경제와 함께 성장하고 있는 소포장 식품소형가전 및 스마트가전명품 관련 시장 등을 눈여겨봐야 한다고 말했다.

 

박민영 무역협회 베이징지부장은 한국 제품을 고가격·고품질의 프리미엄 상품으로 브랜딩한다면 자신에 대한 아낌없는 소비를 통해 자기만족과 과시 욕구를 충족하는 중국의 골드 싱글족’ 공략에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프리미엄 전략으로 고소득 싱글 소비욕 자극 무역협회는 중국의 젊은 고소득 1인 가구와 관련해 유망 산업으로 1인용 식품·소형가전·펫코노미·온라인 쇼핑·1인 오락 등을 꼽았다.

 

2019년 주류쌀 등 소포장 식품과 간편식 판매량은 각각 전년 대비 30%, 50% 증가했고 특히 반조리 식품의 판매량은 111%나 증가했다좌석별로 칸막이가 있거나 혼자서도 음식을 즐길 수 있도록 한 ‘1인 식당도 늘고 있다.

 

2020년 중국에서 기업명경영범위제품 서비스상표 등에 ‘1인식을 포함해 신규 등록한 업체는 79개사로 전년 대비 82%나 증가했고 올해 3월 기준으로는 총 184개 기업이 1인식 관련 기업으로 등록된 것으로 나타났다.

 

소형가전과 스마트 가전도 인기다. 2020년 소형 전기밥솥믹서기전자레인지전기포트 등의 온라인 판매액은 전년 대비 9.4% 증가한 366억 위안(한화 약 6조 원)에 달했다. 2019년 인공지능 스피커스마트 손세정기스마트 휴지통 등 제품 생산량도 전년 대비 110% 증가한 4589만 대로 집계됐다.

 

반려동물용 스마트기기도 인기다스마트 음수기스마트 급식기스마트 고양이 화장실이 3대 인기 품목이며특히 스마트 고양이 화장실은 ‘2020년 티몰 10대 스마트 가전’ 중 유일하게 명단에 오른 펫코노미 제품이다.

 

최근 5년간 연평균 16.1%씩 성장해온 펫코노미 시장도 1인 가구의 주요 소비처 중 하나다특히 반려동물 사료의 경우 유아용품·건강기능식품·화장품의 뒤를 잇는 중국 역직구 수출 유망품목으로 떠오르고 있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온라인 쇼핑과 음식·신선식품 배달도 중국 싱글 소비자들이 가장 많은 소비를 하는 부문 중 하나다특히 코로나19의 영향으로 혼밥’ 인구가 늘고 신선식품에 대한 배달 수요도 크게 늘면서 유통 대기업들이 관련 플랫폼 구축에 뛰어들고 있다.

 

이를테면 중국 3위 전자상거래 업체 핀둬둬는 둬둬마이차이(多多买菜) 플랫폼 운영에 10억 위안(약 1715억 원)을 투자했다중국판 우버로 불리는 디디의 CEO도 신선배달 플랫폼 청신유쇈(优选) 투자에 상한을 두지 않는다고 밝혔다배달업체 메이퇀의 경우 2020년 3분기에 20억 위안(약 3430억 원)의 적자를 기록한 까닭은 지역단지 전자상거래에 대한 투자 때문으로 알려졌다.

 

고소득 1인 여성 가구가 늘면서 화장품·럭셔리에 대한 소비도 커지고 있다. 2020년 중국의 화장품 판매액과 수입액은 각각 전년 대비 9.5%, 31% 증가했다특히 사치품 판매액은 전년 대비 48% 증가한 3460억 위안(약 59조 원)으로 성장해 2025년에는 중국이 세계 최대 사치품 시장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닐슨(Nielsen)이 2020년 7월 발표한 중국 싱글 경제 보고서에 따르면자신을 위해 소비한다는 응답은 싱글 소비자 중 42%에 달해 일반 소비자의 27%를 훨씬 웃돌았다자아실현(교육·신기술·취미), 헬스외식오락반려동물에 대한 투자 의향도 싱글 소비자들이 뚜렷이 높았다.

 

보고서는 홀로 식사관광오락을 즐기는 것이 일상화된 중국의 젊은 싱글들은 자기계발취미건강외모 등 자신을 위한 투자도 아끼지 않는다며 한국의 프리미엄 제품과 서비스는 안전하고’, ‘깨끗하고’, ‘몸에 좋으니까’ 당연히 높은 가격이라는 인식을 심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영채  weeklyctrade@kita.net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44 전파력이 강한 브랜드 별명을 지어라 kimswed 149 2021.05.17
» 중국 ‘싱글 경제’ 유망품목 잡아라 kimswed 132 2021.05.06
142 일본 기업들도 디자인 침해 함정 kimswed 119 2021.03.31
141 ㈜리틀캣 kimswed 178 2021.03.24
140 미얀마 봉제공장 날벼락 kimswed 135 2021.03.18
139 중국 소비시장, ‘전자상거래 kimswed 119 2021.03.16
138 한국은 사실상 규칙 제정자 kimswed 129 2021.03.05
137 중국 외상투자 핵심 新규정 kimswed 126 2021.02.28
136 2억5000명 중국 탈모 시장 kimswed 131 2021.02.23
135 차이나 정반합’의 변증법적 현지화 경영 kimswed 200 2021.02.09
134 농심의 ‘현지화 경영’ 사례에서 배우다 kimswed 391 2021.01.18
133 고헌정영농조합법인 kimswed 368 2020.12.11
132 생활영어51 file kimswed 2910 2011.01.18
131 아세안타임즈 베트남 주재기자 모집 file 아세안타임즈 3058 2010.12.19
130 호치민한인교회 file kimswed 3259 2010.12.01
129 호치민골프연습장 file kimswed 3673 2010.12.01
128 호치민김재천영사 file kimswed 3695 2010.11.08
127 LS전선베트남 file kimswed 2901 2010.11.01
126 베/아산병원 file kimswed 2934 2010.11.01
125 베/대한생명 file kimswed 2843 2010.11.01
124 신한은행하노이 file kimswed 4032 2010.10.12
123 대하기업 file kimswed 2482 2010.10.12
122 (주)공간 file kimswed 2032 2010.10.12
121 베/금호렌터카 file kimswed 2574 2010.10.01
120 호치민상공연합회 file kimswed 3400 2010.04.08
119 이은홍 file kimswed 3062 2010.04.04
118 호치민교민회장 file kimswed 3526 2010.03.28
117 베트남해외인력송출업무 file kimswed 5709 2010.02.21
116 성부비나 file kimswed 4277 2010.02.20
115 베트남한인가구협회 file kimswed 3628 2010.01.09
114 한국석유공사베트남 file kimswed 4041 2009.12.25
113 KCC file kimswed 5430 2009.12.25
112 베트남생활 file kimswed 2940 2009.05.03
111 다이아몬드플라자 file kimswed 3114 2009.04.30
110 V-STAR file kimswed 4037 2009.04.18
109 엔도어즈 file kimswed 3411 2009.04.18
108 시그니쳐 file kimswed 3030 2009.04.16
107 대한생명베트남 file kimswed 2754 2009.04.16
106 베트남한국학교 file kimswed 3922 2009.04.03
105 동림 file kimswed 3244 2009.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