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에서 불법 체류 후 한국으로 입국 시 벌금 및 관련 규정에

대해 문의하셨군요. 다음은 출입국관리법을 기반으로 한 일반적인 내용입니다. 하지만 법규는 수시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법무부 외국인종합안내센터(☎1345) 또는 전문가에게 직접 문의하여 최신 정보를 확인하시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1. 벌금 내역 및 기준

베트남에서 불법 체류 후 한국으로 입국할 때의 벌금은 출입국관리법 위반에 따른 범칙금에 해당합니다. 불법 체류 기간에 따라 범칙금 금액이 달라지며, 일반적인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1년 이상 2년 미만: 약 1,000만 원

  • 3개월 이상 6개월 미만: 400만 원

  • 6개월 이상 1년 미만: 700만 원

  • 2년 이상 3년 미만: 1,500만 원

  • 3년 이상 5년 미만: 2,000만 원

주의사항:

  • 이 금액은 일반적인 기준이며, 개인의 상황(범죄 기록, 자진 출국 여부 등)에 따라 감경 또는 가중될 수 있습니다.

  • 단순 벌금 외에도 입국금지 처분이 내려질 수 있습니다. 불법체류 기간이 1~3년일 경우 보통 2년의 입국금지 처분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벌금을 납부하지 않을 경우 강제 징수될 수 있습니다.

2. 준비 서류 및 해결 방법

자진 출국 시

불법 체류자가 자진하여 출국하는 경우, 정부는 범칙금을 감면하거나 입국 규제를 완화하는 제도를 한시적으로 시행하기도 합니다. 과거에는 자진 출국자에게 벌금을 면제해 주는 정책도 있었으나, 현재는 불법체류를 시작한 시점에 따라 벌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단속되어 강제퇴거되는 경우보다 자진출국 시에는 상대적으로 유리한 처분을 받을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진 출국 절차:

  1. 사전 신고: 출국 예정일로부터 3일(공휴일 제외)에서 15일(공휴일 포함) 전까지 온라인(하이코리아) 또는 거주지 관할 출입국·외국인관서에 자진 출국을 신고합니다.

  2. 준비 서류: 여권, 자진출국신고서, 출국 항공권 등을 준비합니다.

  3. 출국: 출국 당일, 공항만 출입국관리소에서 최종적으로 확인 절차를 거친 후 출국합니다.

주의사항:

  • 자진 출국 제도는 정책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출국 전에 최신 내용을 확인해야 합니다.

  • 위변조 여권을 사용했거나 형사처벌을 받은 전력이 있는 경우, 자진 출국 시에도 벌금 부과나 입국금지 처분을 피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단속되어 강제퇴거 시

자진 출국을 하지 않고 단속될 경우, 일반적으로 더 엄격한 처분을 받게 됩니다.

  • 벌금 부과: 불법체류 기간에 따라 최대 3,000만 원까지의 범칙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 입국금지: 불법체류 기간과 위반 정도에 따라 최대 10년까지 한국 재입국이 금지될 수 있습니다.

  • 보호소 구금: 강제퇴거 절차를 위해 외국인보호소에 구금될 수 있습니다.

3. 결론 및 조언

베트남에서 1년 불법 체류 후 한국 입국 시, 자진 출국하는 것이 단속되어 강제퇴거되는 것보다 훨씬 유리합니다. 자진 출국 시에도 불법체류 기간에 따른 범칙금이 부과될 수 있지만, 입국금지 기간이 단축되거나 추후 재입국을 위한 비자 신청 시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가장 정확한 해결 방법과 정보는 아래 기관을 통해 확인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이 곳에서 본인의 상황에 맞는 최신 규정과 절차에 대한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 베트남에서 불법 체류 후 한국으로 입국 시 벌금 및 관련 규정 new kimswed 3 2025.08.02
822 베트남에 거주하고있는 불법체류한국인의 재입국 kimswed 35 2025.06.30
821 한국에서 사기 혐의로 기소중지된 사람과 인터폴 수배범 kimswed 47 2025.05.23
820 베트남에 10년 이상 불법 체류 중인 한국 교민 kimswed 89 2025.05.22
819 해외거주 기소중지자 현황 admin 46 2025.04.20
818 인도차이나의 범죄자 도피처, 한국인 기소중지자들의 천국 admin 45 2025.04.19
817 방글라데시·미얀마 섬유·봉제산업 관세폭탄 kimswed 77 2025.04.09
816 경기도 영세민 무주택자 영구임대아파트 신청 방법 kimswed 57 2025.03.18
815 도매쿡 온라인 플랫폼 리뷰 (도매의 새로운 패러다임) kimswed 53 2025.03.17
814 샘스클럽 온라인 플랫폼 동시판매 리뷰 kimswed 47 2025.03.17
813 2024 FTA 활용 성공 사례 와셔 제품 kimswed 3001 2024.10.02
812 중국 포장산업 skoreapkk 3493 2024.08.29
811 Tween skin care America admin 4126 2024.08.27
810 중국태양광공급과잉 skoreapkk 4862 2024.08.25
809 미국 Gold Market admin 6378 2024.08.21
808 따라올 테면 따라와 봐 kimswed 7213 2024.08.02
807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 New Zealand) admin 7070 2024.07.28
806 미국, 미술품 시장 베트콩 6935 2024.07.26
805 수출보험 초보기업 kimswed 6729 2024.07.15
804 해외 출장 '오픈 티켓형' 유심 구입 kimswed 6201 2024.07.11
803 수출거래비상위험 kimswed 5916 2024.07.07
802 한국 스타일 디저트 인기 file kimswed 7181 2024.06.21
801 초보수출 애로사항 file kimswed 7161 2024.06.19
800 카자흐스탄, 확대되는 전자상거래 시장 kimswed 7150 2024.05.14
799 신질(新質) 생산력’이 꿈꾸는 중국혁신의 방향 kimswed 7190 2024.05.01
798 K-뷰티 미래시장, 인도·튀르키예·멕시코·태국 주목 kimswed 7111 2024.04.19
797 김현화 마이페어 대표 kimswed 5874 2024.04.10
796 일본, 지속 성장하는 냉동식품 시장 kimswed 6014 2024.04.05
795 브라질, 주요 온라인 유통망 kimswed 5846 2024.03.15
794 채소 종자 수출 1위 네덜란드에서 배울 점 kimswed 5885 2024.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