낯선 땅, 낯선 얼굴들을 만나 덜컥 겁이 났던 기억이 있다. 때론, 많은 현지인과 어울려 중국어를 배워야지, 때론 많은 지역을 돌아다니며 견문을 넓혀야지 하고 다짐했건만, 첫날부터 부딪혔던 문화의 장벽은 끝끝내 허물어뜨릴 수 없었다.
일하느라 지치고, 사람 만나느라 지치고…두 다리 쭉 뻗고 잘, 맘 편한 집 하나 있으면 좋겠다는 신념으로 집을 구하러 나서니…산 넘어 산이로세.
가화만사성이라 했다. 집안이 평화로워야 바깥 일이 즐겁다.
평화로워야 할 가정의 반석이 되는 집.
내가 고르고 내가 맞춘다.
흥정도 내가 하고 아는 척도 내가 한다.
왜? 내가 살 집이니까!!!
집을 임대하고자 할 때는 가능하면 개인적인 거래보다는 믿을 수 있는 부동산 중계소를 찾아 거래를 하는 것이 안전하다. 대부분 브랜드 값을 하는 중계소의 경우 주택 임대비의 한달 치 혹은 그 50%의 소계비를 중계업체에 주어야 한다. 처음 집 옮길 때는 이것저것 돈 들어갈 일도 많아 아깝다는 생각이 들지 모르나 재계약 혹은 집주인과의 말썽이 생길 경우 중간에서 중계 역할을 하기도 하는 것이 부동산의 역할이기 때문이다.
부동산에 문의해도 임차인 당사자가 아는 게 있어야 한마디라도 거들 수 있다.
--more--
[위치]
청도의 경우 보통 시남구, 이창구, 성양구, 교주시 등 지역이름이거나 원하는 아파트 단지 이름을 말해주면 집을 찾는 시간을 아낄 수 있다. 근데 한국인들 거주지는 대부분 거기서 거기다.
아파트 단지 이름은 개발상이 아파트 컨셉에 따라 명명한 이름인데 보통 XX화위엔(花園), XX위엔(園), XX쟈위엔(嘉園), XX꿍위(公寓), XX샤오취(小區), XX청(城) 등이 많이 사용된다. 그러니 이름에는 의미를 두지 말자. ~~부근, ~~아파트 라고 꼭꼭 집어 주면 빨리 찾는다.
[방 구조]
방 1개, 2개, 3개, 복층 등 여러 개 구조로 나뉘는데 아래의 중국어비교를 참조하면 원하는 방구조를 정확히 전달할 수 있다.
套一: 방 1개, 거실이 없고, 화장실은 있을 수 있으나 별도의 주방은 없다. 오래된 아파트에 이런 구조의 방이 있고 2000년대 후에 건설된 아파트에는 거의 없다.
套一廳: 방 1개, 거실이 있고 화장실과 주방이 따로 있다.
套二廳一衛: 방 2개, 거실 1개, 화장실과 주방이 따로 있다.
套二廳雙衛: 방 2개, 거실 1개, 화장실 2개, 주방이 따로 있다.
套三廳雙衛: 방 3개, 거실 1개, 화장실 2개, 주방이 따로 있고 보통 채광창이나 발코니가 별도.
套三雙廳雙衛: 방 3개, 거실 1개, 화장실 2개, 식당과 주방이 따로 있고, 채광창이나 발코니가 별도.
錯層式: 동적과 정적인 공간이 분류된, 거실, 주방, 화장실 등 동적인 공간은 바닥이 낮게 설계되고, 침실은 4-5개 계단차이로 높게 설계된 구조이다.
复式: 복층은 건축 높이가 거의 일반 아파트의 1.5배 이상으로 단층 구조 안에 층계를 만들어 윗층에 서재나 드레스룸 혹은 침실로도 쓰이게 된다.
躍層式: 외관에서 보면 완전히 1,2층의 개념으로 계단은 외부나 내부에 설치된다.
[임대비]
일반적으로 3개월, 6개월, 1년 단위로 계약을 하고 임대비를 계약과 함께 선불한다. 그리고 보증금(야진)은 500-2000위엔 선으로 내부 시설물의 많고 적음에 따라 큰 차이가 난다. 보증금은 임차인이 이사를 나갈 때 연체된 공과금 등의 차액을 감산하는 용도로도 쓰인다. 말만 잘하면 이 야진이라는 것도 내지 않고 살 수 있지만 지금은 대부분 이 야진이라는 것이 임대법의 한 부분이 되어 필수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 하지만 집을 비울 때는 꼼꼼히 따져보고 반드시 이 비용을 돌려 받아야 한다. 사소한 흠집 따위는 직접 고칠 수 있으면 고쳐 놓고, 공과금은 미루지 않은 상태에서 깨끗이 청산 하도록 한다. 그래야 돌려 받을 건 확실 히 돌려 받을 수 있도록 큰소리 칠 수 있다. 이 때 중계소의 역할도 기대할 만 하다.
[면적]
중국에서는 면적의 단위로 모두 평방미터를 단위로 사용하고 있다. 중국어에서는 굳이 평방미터라고 하지 않고 그냥 平(ping)으로 많이 쓰고 있다. 한국 평수 10 평은 중국 평수 33평방미터라는 계산이다.
[인테리어정도]
毛呸: 인테리어가 아예 안된 콩크리트 벽면을 볼 수 있는 상태의 아파트, 인테리어 되지 않은 아파트라고 생각하면 된다.
簡裝: 화장실과 주방 등 가장 기본적인 간단한 시설만 된 아파트, 간단하게 바닥, 벽 페인?칠, 등, 문, 주방 정도의 가장 기본적인 이용장소를 약간 편리하게 인테리어 해 놓은 것을 말한다.
精裝: 벽면과 바닥, 천정 등 부분까지 정교한 인테리어 된 아파트, 기본 인테리어 플러스 알파. 예쁘게 꾸며 놓은 집이다. 인테리어 외에도 문은 잘 닫기는 지, 등은 고장 난 게 없는 지, 창문은 안전한 지 꼼꼼히 살펴보아야 한다. 요구 사항이 있으면 집주인에게 집을 살펴보면서 하나씩 요구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방범창이 필요하다던가, 에어컨이 필요하다던가, 가구 가전을 모두 구비해 달라던가 등 요구사항을 피력하면 된다. 가구가전이 모두 구비 된 경우의 임대비는 그렇지 않은 집보다 연 5,000위엔 ~ 10,000위엔 정도 비싸다. 반대로 가구가전제품들이 구비된 집에서 가구가전이 모두 필요 없을 경우 임대비를 다시 깎아야 한다.
[아파트 관리비]
각 아파트마다 관리비는 천지차이가 난다. 그럭저럭 깨끗한 아파트의 경우, 대부분 한국인들이 거주하고 있는 환경의 아파트는 한달에 200위엔~300위엔 정도이며 여기에는 위생청결비, 방범, 엘리베이터 관리 등의 용역비가 포함된다. 관리비는 일반적으로 관리실에 2개월 혹은 3개월 단위로 납부한다. 간단한 수리 정도는 관리실에서도 가능하니 발생되는 작은 문제들을 골치 아파 하지 말고 관리실의 도움을 자주 받도록 하자. 권리는 찾자는 말씀이다.
[난방시설과 가스시설]
새로 개발된 아파트 단지는 대부분 천연가스(天然氣) 혹은 석탄가스(煤氣)와 난방시설 2가지 모두 설치되어 있는데 이를 중국어로 쑤앙치(雙氣)라 한다. 좀 오래된 아파트거나 시내 외곽의 아파트는 난방만 있거나 가스만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에는 누안치(暖氣, 중국식 난방시설) 혹은 煤氣(석탄가스)라고 별도로 설명하게 된다. 누안치는 라디에이터 식 난방 시설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한국에는 온돌, 중국에는 누안치(暖氣)인데, 누안치는 라디에이터 방식으로 차가운 공기를 덥히는데 보일러회사에서 일괄적으로 난방을 공급하는 중앙공급식이다. 칭다오 지역은 보통 11월 중순부터 공급을 시작해 이듬해 3월말이면 공급을 중단하고 있다. 한국과 다른 점은 날씨가 추워졌다고 해서 개인 임의대로 틀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 경우 10월 말 경 평수에 따른 난방비를 별도 지불하여야 한다. 난방비는 중국평수 1평방미터 당 약 24위엔 정도로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사항들을 확인한 후 자신이 원하는 요구사항과 가장 근접하는 몇 개의 집을 골라서 부동산 업체와 약속하고 직접 찾아가서 교통상황, 내부시설물 등을 확인해야 한다.
일하느라 지치고, 사람 만나느라 지치고…두 다리 쭉 뻗고 잘, 맘 편한 집 하나 있으면 좋겠다는 신념으로 집을 구하러 나서니…산 넘어 산이로세.
가화만사성이라 했다. 집안이 평화로워야 바깥 일이 즐겁다.
평화로워야 할 가정의 반석이 되는 집.
내가 고르고 내가 맞춘다.
흥정도 내가 하고 아는 척도 내가 한다.
왜? 내가 살 집이니까!!!
집을 임대하고자 할 때는 가능하면 개인적인 거래보다는 믿을 수 있는 부동산 중계소를 찾아 거래를 하는 것이 안전하다. 대부분 브랜드 값을 하는 중계소의 경우 주택 임대비의 한달 치 혹은 그 50%의 소계비를 중계업체에 주어야 한다. 처음 집 옮길 때는 이것저것 돈 들어갈 일도 많아 아깝다는 생각이 들지 모르나 재계약 혹은 집주인과의 말썽이 생길 경우 중간에서 중계 역할을 하기도 하는 것이 부동산의 역할이기 때문이다.
부동산에 문의해도 임차인 당사자가 아는 게 있어야 한마디라도 거들 수 있다.
--more--
[위치]
청도의 경우 보통 시남구, 이창구, 성양구, 교주시 등 지역이름이거나 원하는 아파트 단지 이름을 말해주면 집을 찾는 시간을 아낄 수 있다. 근데 한국인들 거주지는 대부분 거기서 거기다.
아파트 단지 이름은 개발상이 아파트 컨셉에 따라 명명한 이름인데 보통 XX화위엔(花園), XX위엔(園), XX쟈위엔(嘉園), XX꿍위(公寓), XX샤오취(小區), XX청(城) 등이 많이 사용된다. 그러니 이름에는 의미를 두지 말자. ~~부근, ~~아파트 라고 꼭꼭 집어 주면 빨리 찾는다.
[방 구조]
방 1개, 2개, 3개, 복층 등 여러 개 구조로 나뉘는데 아래의 중국어비교를 참조하면 원하는 방구조를 정확히 전달할 수 있다.
套一: 방 1개, 거실이 없고, 화장실은 있을 수 있으나 별도의 주방은 없다. 오래된 아파트에 이런 구조의 방이 있고 2000년대 후에 건설된 아파트에는 거의 없다.
套一廳: 방 1개, 거실이 있고 화장실과 주방이 따로 있다.
套二廳一衛: 방 2개, 거실 1개, 화장실과 주방이 따로 있다.
套二廳雙衛: 방 2개, 거실 1개, 화장실 2개, 주방이 따로 있다.
套三廳雙衛: 방 3개, 거실 1개, 화장실 2개, 주방이 따로 있고 보통 채광창이나 발코니가 별도.
套三雙廳雙衛: 방 3개, 거실 1개, 화장실 2개, 식당과 주방이 따로 있고, 채광창이나 발코니가 별도.
錯層式: 동적과 정적인 공간이 분류된, 거실, 주방, 화장실 등 동적인 공간은 바닥이 낮게 설계되고, 침실은 4-5개 계단차이로 높게 설계된 구조이다.
复式: 복층은 건축 높이가 거의 일반 아파트의 1.5배 이상으로 단층 구조 안에 층계를 만들어 윗층에 서재나 드레스룸 혹은 침실로도 쓰이게 된다.
躍層式: 외관에서 보면 완전히 1,2층의 개념으로 계단은 외부나 내부에 설치된다.
[임대비]
일반적으로 3개월, 6개월, 1년 단위로 계약을 하고 임대비를 계약과 함께 선불한다. 그리고 보증금(야진)은 500-2000위엔 선으로 내부 시설물의 많고 적음에 따라 큰 차이가 난다. 보증금은 임차인이 이사를 나갈 때 연체된 공과금 등의 차액을 감산하는 용도로도 쓰인다. 말만 잘하면 이 야진이라는 것도 내지 않고 살 수 있지만 지금은 대부분 이 야진이라는 것이 임대법의 한 부분이 되어 필수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 하지만 집을 비울 때는 꼼꼼히 따져보고 반드시 이 비용을 돌려 받아야 한다. 사소한 흠집 따위는 직접 고칠 수 있으면 고쳐 놓고, 공과금은 미루지 않은 상태에서 깨끗이 청산 하도록 한다. 그래야 돌려 받을 건 확실 히 돌려 받을 수 있도록 큰소리 칠 수 있다. 이 때 중계소의 역할도 기대할 만 하다.
[면적]
중국에서는 면적의 단위로 모두 평방미터를 단위로 사용하고 있다. 중국어에서는 굳이 평방미터라고 하지 않고 그냥 平(ping)으로 많이 쓰고 있다. 한국 평수 10 평은 중국 평수 33평방미터라는 계산이다.
[인테리어정도]
毛呸: 인테리어가 아예 안된 콩크리트 벽면을 볼 수 있는 상태의 아파트, 인테리어 되지 않은 아파트라고 생각하면 된다.
簡裝: 화장실과 주방 등 가장 기본적인 간단한 시설만 된 아파트, 간단하게 바닥, 벽 페인?칠, 등, 문, 주방 정도의 가장 기본적인 이용장소를 약간 편리하게 인테리어 해 놓은 것을 말한다.
精裝: 벽면과 바닥, 천정 등 부분까지 정교한 인테리어 된 아파트, 기본 인테리어 플러스 알파. 예쁘게 꾸며 놓은 집이다. 인테리어 외에도 문은 잘 닫기는 지, 등은 고장 난 게 없는 지, 창문은 안전한 지 꼼꼼히 살펴보아야 한다. 요구 사항이 있으면 집주인에게 집을 살펴보면서 하나씩 요구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방범창이 필요하다던가, 에어컨이 필요하다던가, 가구 가전을 모두 구비해 달라던가 등 요구사항을 피력하면 된다. 가구가전이 모두 구비 된 경우의 임대비는 그렇지 않은 집보다 연 5,000위엔 ~ 10,000위엔 정도 비싸다. 반대로 가구가전제품들이 구비된 집에서 가구가전이 모두 필요 없을 경우 임대비를 다시 깎아야 한다.
[아파트 관리비]
각 아파트마다 관리비는 천지차이가 난다. 그럭저럭 깨끗한 아파트의 경우, 대부분 한국인들이 거주하고 있는 환경의 아파트는 한달에 200위엔~300위엔 정도이며 여기에는 위생청결비, 방범, 엘리베이터 관리 등의 용역비가 포함된다. 관리비는 일반적으로 관리실에 2개월 혹은 3개월 단위로 납부한다. 간단한 수리 정도는 관리실에서도 가능하니 발생되는 작은 문제들을 골치 아파 하지 말고 관리실의 도움을 자주 받도록 하자. 권리는 찾자는 말씀이다.
[난방시설과 가스시설]
새로 개발된 아파트 단지는 대부분 천연가스(天然氣) 혹은 석탄가스(煤氣)와 난방시설 2가지 모두 설치되어 있는데 이를 중국어로 쑤앙치(雙氣)라 한다. 좀 오래된 아파트거나 시내 외곽의 아파트는 난방만 있거나 가스만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에는 누안치(暖氣, 중국식 난방시설) 혹은 煤氣(석탄가스)라고 별도로 설명하게 된다. 누안치는 라디에이터 식 난방 시설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한국에는 온돌, 중국에는 누안치(暖氣)인데, 누안치는 라디에이터 방식으로 차가운 공기를 덥히는데 보일러회사에서 일괄적으로 난방을 공급하는 중앙공급식이다. 칭다오 지역은 보통 11월 중순부터 공급을 시작해 이듬해 3월말이면 공급을 중단하고 있다. 한국과 다른 점은 날씨가 추워졌다고 해서 개인 임의대로 틀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 경우 10월 말 경 평수에 따른 난방비를 별도 지불하여야 한다. 난방비는 중국평수 1평방미터 당 약 24위엔 정도로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사항들을 확인한 후 자신이 원하는 요구사항과 가장 근접하는 몇 개의 집을 골라서 부동산 업체와 약속하고 직접 찾아가서 교통상황, 내부시설물 등을 확인해야 한다.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수 | 날짜 |
---|---|---|---|---|
50 |
투자관련정보
![]() | kimswed | 1426 | 2007.08.02 |
49 |
필립핀/바기오
![]() | kimswed | 1794 | 2007.04.24 |
48 |
베/고엽제
![]() | kimswed | 1410 | 2007.04.03 |
47 |
베/교육제도
![]() | kimswed | 1713 | 2007.04.03 |
46 |
베/교육제도
![]() | kimswed | 1354 | 2007.04.03 |
45 |
베트남인
![]() | kimswed | 1438 | 2007.04.03 |
44 |
캄/폴포트
![]() | kimswed | 1508 | 2007.04.02 |
43 |
캄/크메르루즈
![]() | kimswed | 1461 | 2007.04.02 |
42 |
캄/앙코르왓
![]() | kimswed | 1308 | 2007.04.02 |
41 |
캄/시아누크
![]() | kimswed | 1557 | 2007.04.02 |
40 |
캄/모이제족
![]() | kimswed | 1664 | 2007.04.02 |
39 |
메콩강
![]() | kimswed | 1532 | 2007.04.02 |
38 |
캄/노르돔왕조
![]() | kimswed | 1411 | 2007.04.02 |
37 |
캄/남방불교
![]() | kimswed | 1484 | 2007.04.02 |
36 |
베트남마지막왕조
![]() | kimswed | 1535 | 2007.04.02 |
35 |
크메르어
![]() | kimswed | 1601 | 2007.04.02 |
34 |
크메르족
![]() | kimswed | 1562 | 2007.04.02 |
33 |
동남아로....
![]() | kimswed | 1275 | 2007.03.31 |
32 |
캄보디아교회의현실
![]() | kimswed | 1633 | 2007.03.31 |
31 |
중국의관습
![]() | kimswed | 1651 | 2007.03.31 |
30 | 중국칭따오부동산전망 | kimswed | 1466 | 2007.03.31 |
29 | 중국운전면허취득법 | kimswed | 1597 | 2007.03.31 |
28 | 중국인민폐통화단위 | kimswed | 1817 | 2007.03.31 |
» | 중국아파트임대하기 | kimswed | 1617 | 2007.03.31 |
26 | 중국여행시주의사항 | kimswed | 2180 | 2007.03.31 |
25 | 노인을때리는중국풍습 | kimswed | 1580 | 2007.03.31 |
24 | 중국조선족의과제 | kimswed | 1428 | 2007.03.31 |
23 | 중국에서바가지안쓰는법 | kimswed | 1416 | 2007.03.31 |
22 | 몽골반점 | kimswed | 1506 | 2007.03.31 |
21 | 몽골민족의종말과그이후 | kimswed | 1385 | 2007.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