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ra_vars1  
extra_vars2  
 월급 속에 감춰진 비밀
 
성경에 나오는 에피소드 중 하나다. 아침에 농장 주인이 밖에 나가서 일할 품꾼을 찾아 데리고 온다. 요즘 표현으로 하면 인력시장에서 구인에 성공한 것이다. 
 
그 주인은 점심때가 가까울 무렵 다시 길가로 나가 구직을 못한 사람들을 발견하고 그중에서 인부를 또 구한다. 오후에도 같은 행동을 반복한다. 심지어 해가 저물기 시작한 오후 5시쯤에도 인력시장에 들러 구직을 못한 사람에게 일자리를 만들어준다. 
 
같은 날 일을 했지만 근무시간이 다른 인부들의 일당은 어떻게 될까? 
 
근무시간이 다르니 금액이 달랐을 것이라는 일반적인 예상은 빗나간다. 성경에는 해당 일에 1시간을 일했든, 8시간을 일했든 동일한 품삯을 지급했다고 나온다. 
 
당연히 일을 많이 한 사람이 불만을 제기할 것이다. 더 많은 시간 일했는데 왜 같은 금액을 주냐고. 
 
대답은 명쾌하다. “당신을 채용할 때 약속한 금액을 모두 지급했는데 제3자의 일당을 보고 문제 제기하는 것은 온당치 못하다.”
 
실제로 거의 모든 근로 현장에서 임금에 대한 불만이 항상 존재한다. 중소기업은 물론 대기업도 예외는 아니다. 
 
임금에 대한 사전적 정의는 ‘근로자가 노동의 대가로 사용자에게 받는 보수. 급료, 봉급, 수당, 상여금 따위이며 현물 급여도 포함한다’로 되어 있다. 
 
현실은 정의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실제로 얼마를 받느냐가 더 중요하다. 거의 대부분의 근로자들이 자기가 일한 만큼 받지 못한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다행히 절대 금액에는 큰 불만이 없다. 내가 이미 알고 들어왔고 근로계약서를 통해 합의한 내용이기 때문이다. 
 
더 큰 문제는 앞의 에피소드에서처럼 내가 다른 사람보다 능력이 뛰어나거나 일을 더 많이 했는데(성과를 더 많이 낸 경우도 포함) 내 임금이 동료와 같거나 정반대로 낮다는 것이 문제다. 
 
자본주의에서 모두가 공감하는 내용인 ‘배고픈 것은 참지만 배 아픈 것은 못참는다(不患贫而患不均)’는 것과 일맥상통한다.
 
그러나 월급을 일하는 것에 대한 대가로만 해석해서는 안 된다. 
 
내가 한 일에 대한 대가는 월급의 절반정도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듣기 싫은 말을 들어야 하고, 같이하고 싶지 않은 사람과 같이 일한 보상이라고 생각하니 속이 편해진다. 
 
월급을 한 일에 대한 결과물로만 국한하면, 슬퍼지고 운신의 폭이 좁아지면서 스트레스에 시달린다. 생각을 바꾸니 회사 생활이 훨씬 편해지고 스트레스도 급하강했다.
 
회사가 잘 맞지 않아 전직하고 싶다는 사람이 의외로 무척이나 많다. 그들에게 전해야 하는 이야기는 이렇다. 
 
회사에 만족해서 다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회사 생활이 매일 기쁘고 출근이 행복하다면 월급의 절반은 토해내야 한다. 앞의 논리대로 일한 값은 월급의 절반이니.
 
따라서 월급에 대한 정의를 바꿀 필요가 있다. 월급의 절반은 듣기 싫은 말을 들은 대가이고 나머지는 일을 한 것에 대한 값이다. 당사자의 정신건강과 행복한 직장생활을 위한 사고의 대전환이다. 
 
만약 스트레스가 없는 회사에서 마음에 맞는 사람들과만 일하고 싶다면 월급 절반을 반납하거나 아니면 스스로 창업에 나서 사장이 되어야 한다. 
 
그렇지만 잊어서는 안 된다. 스스로 회사의 오너가 되어도 스트레스는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 많이 쌓일 수 있다는 사실을. 
 
그래서 주위에 내 마음에 탐탁하지 않은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이 내 월급의 절반을 주는 사람이라는 사고전환이 필요하다. 
 
나에 대한 월급은 나 혼자 일해서 받는 것이 아니라 함께 일해 받는 것이다. 그래서 월급을 주는 동료에게 감사하고 마음에 들지 않는 직원에게도 먼저 다가가야 한다.
 
민영채·W커뮤니케이션 대표
 
번호 제목 조회 수 이름
91 김영근 세계한인네트워크 대표 111 kimswed
90 샐러리맨 30년 현직 CEO 1804 kimswed
89 한국인 최초 캄보디아 인플루언서 1695 kimswed
» 슬기로운 직장생활’ (1) 월급 속에 감춰진 비밀 7964 kimswed
87 김문영의 인도경제, 인도상인 이야기(8 7962 kimswed
86 사회주의자 vs 시장주의자 7916 kimswed
85 중동 소비자들, 전자상거래·온라인 마케팅에 눈 뜨다 7930 kimswed
84 마이스(MICE) 산업과 미팅 테크놀로지 7906 kimswed
83 중국 유통시장 함정에 주의하라 8018 kimswed
82 법무법인 리우 8721 kimswed
81 제품이 아닌 가치를 팔아라 8399 kimswed
80 이형주 링크팩토리 전시본부장 7975 kimswed
79 무역 전쟁에 한국산 원산지 기재 관행 7904 kimswed
78 캄보디아에서 만나게 되는 다양한 인간 군상 7879 kimswed
77 캄보디아 전통춤 압사라 논문 7987 kimswed
76 감성을 자극하는 스토리텔링 마케팅II 7875 kimswed
75 감성을 자극하는 스토리텔링 마케팅 7864 kimswed
74 서울에이스치과 김명수 8140 kimswed
73 ECSP 대표이사 이정훈대표 file 7848 kimswed
72 TNS(HTNS) 호치민 7864 kimswed
71 청맥(주) 김계환 이사 “제품에 맞는 바이어를 찾는 게 핵심이죠 file 8159 kimswed
70 필드의 느낌 그대로 G swing file 8154 kimswed
69 한지공예 심선숙 file 8088 kimswed
68 윤성기목사님 file 4742 kimswed
67 섭섭 file 5077 kimswed
66 목포홍익여행사 file 4756 kimswed
65 sihanukVille리나 file 4852 kimswed
64 이병근한의원 file 3240 kimswed
63 김규호치민한인회장 file 3291 kimswed
62 베트남축구선수입단 file 3334 kimswed
61 영어교육우보현 file 3166 kimswed
60 호치민농구동호회 file 3426 kimswed
59 호치민야구동호회 file 3752 kimswed
58 호치민베드민턴클럽 file 3706 kimswed
57 김광묵영사 file 2828 kimswed
56 유명우권투선수 file 4002 kimswed
55 김종범복싱감독 file 3346 kimswed
54 화이트스타치과 file 3650 kimswed
53 박노완호치민총영사 file 3199 kimswed
52 부산베트남투자기업협회 file 3128 kimswed